
모두가 블로그로 하루에 1시간씩 운영해서
수익은 월급에 준하게 받는 환상을 가지지만
이건 블로그 역사 초기에서도 불가능한 전략으로
심지어 꿈 속이라고 해도
뭘 쓸지에 대한 고민이 없으면
성공하기 힘든 전략인데
아직도 사람들은 이런 일확천금을 기대하고
블로그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지만
현실을 한 번 돌아보자면
블로그는 노동 집약적인 산업으로
최대한 시간을 많이 투자해서
사람들이 원하는 포스트를 대량으로 찍어내서
사람들을 유치한 후 뒤로 가기 누르는 게 아닌
블로그 계속 보게 하면서
광고를 보게 만들어야 하는데
물론 적은 수고로 사람들이
많이 몰리는 키워드도 존재하지만
수요가 많을 수록 경쟁이 심하고
개인 블로거가 대형 커뮤니티 사이트나
미디어 그룹들을 이기기 힘들기 때문에
이는 나무만 보고 숲은 못 보는 전략이다
그리고 노동 집약적이라고 말하면
직장에서 8시간 일하고 돌아와서
잠들기 직전까지 또 일하고
주말에도 계속 일하라는 말인데
말이 쉽지 현실은 가혹하기 때문에
대부분은 시간을 지나치게 줄인 뒤
아주 작은 수익과 트래픽에 실망하고 포기하거나
혹은 시간을 많이 투자해도
시간 대비 수익이 미치지 못하는 걸 보고
실망해서 빠져나가는 사람들이 대부분인데
많은 시간을 투자한다고 해도
많은 수익을 보장하지는 않으며
사람들의 수요를 잘 체크해서
글을 계속 찍어내는 능력이 꼭 필요하지만
이건 블로그를 운영하면서
서서히 생기는 능력이기 때문에
장기 운영하면서 수요 포착하는 능력을 키워야 한다
그렇다면 시간 투자 대비
성공 가능성이 높은 것도 아니고
성공한다 해도 리턴이 엄청난 게 아닌데
이걸 왜 하냐? 이런 사람들이 많은데
이 생각을 떠올린 순간
대부분의 사람이 블로그 운영을 중단한다
실제 노력 대비 기대 수익이 낮기 때문이다
예전에는 블로그 운영을 권장할 때
내가 글 쓰는게 취미라서
블로그 재밌고 돈도 버는데 왜 안하지?
이런 생각을 했었지만
사람이 모두 동일하지는 않기 때문에
글 쓰는게 재미가 없다면
돈도 안 되는 고문으로 느껴질 수 있고
이러면 블로그는 절대 추천하지 않는다
만약 재미를 못 느껴도 계속 진행하면
뇌에서 지루한 작업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머리에서 창조적인 사고를 하는 대신
단순 작업만 반복하게 되고
당연히 저조한 수입으로 이어진다
시간은 많이 드는데 수입은 낮다면
블로그를 굳이 할 이유가 없어지기 때문에
이 점을 꼭 조심해야 하고
뭔가 엄청난 비결을 기대했겠지만
산업 자체가 노동 집약적이라고 말했던 것처럼
다양한 주제에 대해 모두 글을 작성하면서
트래픽과 수입이 나는 구간을 확인하고
그걸 확장시키는 과정이 가장 중요한데
내 경우에는 티스토리의 경우에는
하나의 블로그만 봐도 6년간 매일 2개 정도로
4천개가 되는 글을 작성하며
꾸준한 수입 상승을 목격했지만
워드프레스는 동일하게 하나만 봐도
20개월 약간 넘는 기간동안 하루에 평균 8개씩
5천개 정도 되는 글을 작성했는데
시간을 더 많이 투자할 수록
수입은 더 빠르고 급격하게 상승한다
그런데 이 구간에서 시간이 엄청나게 소요되기에
글 쓰는데 취미가 없으면
시간 다 까먹는 구간에서 조기에 포기하게 된다
그리고 인터넷이나 강의에서는
블로그 운영만으로 먹고 살 수 있다고 하지만
이는 실제로 불가능하다고 봐야 하는데
블로그 운영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수익이 비례해서 늘어나는 것을 보장하지 않고
경제 상황에 따라 단가 변동이 심하기 때문에
저번 달에는 300을 벌어도
이번 달에는 얼마든지 200으로 떨어질 수 있고
여기서 더 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안정적인 직장을 가진 상태에서
시간을 밀어 넣으면서 블로그를
운영하는 것을 추천하는데
이러면 블로그에 시간을 붓기 시작했을 경우
잘 풀리면 월급을 한번 더 받을 수 있지만
실패해도 직장 수입은 유지되고
보너스를 받는 구조가 되는데
이게 오래 유지되다 보면
안정적인 직장 수입 + 변동성 큰 광고 수입으로
많이 벌 때는 월급의 2-3배씩 벌고
적게 벌 때도 월급에 보너스 받는 느낌으로
계속 돈을 벌 수 있고
돈이 빠르게 쌓이기 시작하면
대부분은 더 많이 벌어야지 이러고 조급해지는 대신
안정적으로 불리자는 생각이 들기 시작하는데
이러면 시킹 알파 같은 서비스를 이용해서
S&P 500 ETF나 유력한 주식에 장기 투자하면서
돈의 일정 부분은 채권이나 커버드 콜로 돌려
배당 수익을 받기 시작하면
월급 + 광고 수익 + 배당금까지
월간 수익이 급격하게 불어나게 되는데
돈이 없는 상황이라면
투자에 여유가 없기 때문에
짧은 기간에 많이 벌려고 해서
결과적으로 돈을 잃게 되지만
이런 파이프라인 구축에 성공하면
마인드가 조급하지 않기 때문에
S&P 500 같은 승률이 높은 상품만 골라
여유롭게 장기 투자해서 이익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열심히 번 돈으로 게으르게 투자한 결과
2년 뒤 S&P 500은 50%, 나스닥100은
80% 가까이 상승했는데
이러면 일부 매도하고 수익의 일부를
배당 상품으로 돌려서 배당을 늘리면
월간 수입이 계속 늘어나면서
점점 직장에서
돈을 많이 받는 방향을 추구하는 대신
직장에서는 근무 시간 지켜서
여유있게 일하는 방향을 선택하게 되고
직장 수입은 어느정도 양보한다 해도
부수입이 극대화되기 때문에
일반 직장인보다 훨씬 많은 수입을 쥐게 되는데
이러면 시간이 흘러 나이를 먹는다 해도
부수입은 강력하게 유지되는 상태기에
월급이 갑자기 끊어진다 하더라도
안정된 재정과 수입이 있기에
큰 타격은 받지 않게 된다
어쩌다 보니 블로그 수입 내는 방법에서
재테크 강의로 변질됐는데
결론은 블로그로 일확천금을 쥘 수는 없고
블로그만으로 먹고 사는 것도 어려운 편이지만
블로그는 월급과 동시에 부수입을
올릴 수 있는 좋은 수단이고
잘 굴러가기 시작하면
재정에 안정을 주기 시작하면서
스노우볼을 계속 굴려 나갈 수 있는
안정적인 축이 되어주기 때문에
블로그로 수익을 올려 볼 생각이 있다면
이 점을 꼭 명심해서
블로그로 삶을 바꾸겠다가 아닌
재산을 늘리는 축으로 사용하겠다
이런 느낌으로 접근해주면 되겠다
Leave a Reply
이메일은 알림 용도로만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