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워드프레스 Bandwidth(대역폭)를 이용한 최대 방문자 계산방법
호스팅 사이트를 이용하여 워드프레스를 사용할 경우
공유 호스팅은 대역폭을 보여주지 않아도
대강 최대 방문자 수와 페이지뷰를 계산할 수 있지만
VPS 호스팅을 사용해줄 경우에는
많은 경우에 일정 대역폭을 제공해주게 되는데
요점은 대역폭을 가지고
내 워드프레스에 방문할 수 있는
최대 방문자가 얼마나 되는지
어떻게 계산하냐는 거다

일단 Pingdom 으로 이동한 뒤
워드프레스에서 사진이 많이 들어간 게시물과
적게 들어간 게시물들의 링크를 넣어
Page Size를 찾아줘야 하는데
페이지 크기 * 방문 횟수가
대역폭(Bandwidth)를 넘어가면
속도가 급격하게 느려지거나
접속이 제한되게 되기 때문에
정밀하게 비교하기는 힘들겠지만
페이지 크기의 중간값을 구해준 후
계산을 해주면 되는데
평균 페이지 크기 1MB
– 1TB = 일방문 5만 (매월 100만 페이지뷰)
– 2TB = 일방문 10만 (매월 200만 페이지뷰)
– 4TB = 일방문 20만 (매월 400만 페이지뷰)
– 8TB = 일방문 40만 (매월 800만 페이지뷰)
평균 페이지 크기 1.5MB
– 1TB = 일방문 3.3만
– 2TB = 일방문 6.6만
– 4TB = 일방문 13.2만
– 8TB = 일방문 26.4만
평균 페이지 크기 2MB
– 1TB = 일방문 2.5만 (매월 50만 페이지뷰)
– 2TB = 일방문 5만 (매월 100만 페이지뷰)
– 4TB = 일방문 10만 (매월 200만 페이지뷰)
– 8TB = 일방문 20만 (매월 400만 페이지뷰)
VPS 호스팅에서 가장 저렴한 요금제인
1TB 대역폭을 사용해도 페이지 크기 관리만 잘 해주면
일방문 2-3만까지는 어렵지 않게 유지할 수 있고
4TB 정도의 요금제를 사용해주면
일방문이 10만이 넘어가도 별 무리가 없는 것이 보인다
그런데 여기서 페이지 크기 관리를 어떻게 하냐면
이미지 최적화와 워드프레스 최적화를 수행해주면 되는데
이미지 최적화는
이미지 형식을 모두 WebP로 변환한 뒤
Smush 플러그인을 사용해주면 되고
워드프레스 최적화는
WP Rocket(유료), Autoptimize(무료), W3 Total Cache(무료)
플러그인을 사용해주면 되겠다
Leave a Reply
이메일은 알림 용도로만 사용됩니다.